부동산

아파트 대지지분이란? 아파트 평수별 대지지분을 확인하는 방법

Zdar 2023. 1. 31. 00:02

서울 역세권 인근의 주공을 보면서

대지지분을 확인하며 공부하고 있다.

그 내용을 작성하며 기록 및 복기해보려 한다.

 

부동산에 관심을 가진 지 얼마 되지 않아 아주 기초적인 내용을 공부 중이지만,

누군가에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아파트 그 자체에 대해 알 수 있는 지표는 여러 가지가 있다.

전월세 가격, 면적, 대지지분, 층수, 건축 연도, 위치, 입지, 용적률 등이 있다.

이 중에서 대지지분에 대해 알아보자.

 

 

대지지분의 뜻과 개념

대지지분이란 말 그대로 대지(땅)에 대한 지분을 얼마나 가지고 있느냐를 표현한 것이다.

아파트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사는 공동주택이며

한정된 토지에 위로 높게 쌓아 올렸다.때문에 그 한정된 토지를 세대별로 얼마나 분배되고 소유하고 있느냐에 대한 값이 필요한데

그 값이 '대지지분'이다.

단순히 각 세대가 아파트 부지 내에서 얼마만큼의 땅을 깔고 앉고 있냐는 것이다.

 

 

대지지분이 왜 중요한가?

기존 아파트를 허물고 다시 짓는 '재건축'을 진행할 때 중요해진다.

보유 대지지분에 따라 평수배정, 추가분담금 금액 등 수익성에 대한 여러 가지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재건축 아파트 매수를 고려할 때 대지지분을 필수적으로 확인하게 된다.

 

 

빠르고 간단하게 아파트 대지지분 확인하는 방법 (세대별 평균 대지지분)

※ 준비물 : 아실 사이트 (https://asil.kr/)

 

'아실 (아파트실거래가)' 사이트를 통해 아파트의 '세대별 평균 대지지분'을 확인할 수 있다.

'아실' 사이트에서 단지의 '세대 평균 대지지분'을 보는 방법, 순서대로 클릭해보자.

위처럼 아실 사이트에서 관심 있는 지역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말 그대로 세대 '평균'의 대지지분만 확인 가능하다.

해당 아파트가 다양한 평수로 믹스되어 있고 시세차이가 크다면 평균값은 내가 매수할 평수를 대표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래서 단지별/세대별 대지지분을 확인해야 한다.

 

 

정확하게 대지지분을 확인하는 방법 (평수별 대지지분)

※ 준비물 : 디스코 사이트 (https://www.disco.re/)

 

'디스코'라는 사이트를 추가로 확인하면 평수별 대지지분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 사진 순서대로 따라 해보자.

원하는 단지를 찾기 위해 돋보기 클릭
원하는 단지 입력 후 엔터
해당 단지의 '건물' 탭 클릭 // 아래로 슬라이드
'호별정보' 탭에 원하는 세대 입력 // 대지지분 확인 (96.19m2)

이처럼 디스코를 통해  목동 신시가지 7단지 701동 101호의 대지지분을 알 수 있다. (96.19 m2)

대지지분이 m2 단위로 되어 있기 때문에 평수로 환산하기 위해 0.3025를 곱해준다.

따라서 대지지분은 29.1평(96.19 x 0.3025)이다.

 

이렇게 평수별로 대지지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여러 아파트의 대지지분을 확인해서 비교해 보고 본인만의 기준을 세워 투자에 활용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