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5

캠핑 랜턴 크레모아 쓰리페이스 미니, 3페이스 미니, 다크 그레이 색상 (언박싱 및 밝기 테스트)

본격적인 봄 캠핑에 앞서 랜턴을 구매하였습니다. 가격은 79000원, 무료 배송으로 받았습니다. 미니보다 큰 사이즈인 3페이스 네오 20이나 30을 사지 않은 이유는 10만원 중후반의 가격이 다소 부담스러운 점 그리고 2~3인 텐트를 활용한 미니멀 캠핑을 하는 점 (폴러투맨 텐트) 때문이었습니다. 본격적인 제품 리뷰를 진행해 보겠습니다. 크레모아 3페이스 미니 제품 사양 제품명 크레모아 3페이스 미니 LED 색온도 전구색 (백청색) / 주백색(백색) / 주광색(황색) 밝기 (루멘) 40 ~ 800Lm 사이즈 78 x 102.5 x 19.7mm 제품 중량 159g 배터리 타임 / 용량 리튬폴리머 3.7V, 5000mAh (18.50Wh) 충전 시간 2시간 40분 사용 시간 6시간 30분 ~ 60시간 INP..

리뷰 2023.03.26

엑셀, 파워포인트 차트에 하강선 넣는 방법 (차트 세로줄 넣는 방법)

하강선(세로줄)을 넣는 이유, 왜 넣는 건가요? 하강선을 사용하면 아래와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가로축에 해당하는 값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차트를 보다 깔끔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보고서에 들어갈 차트에 하강선을 활용하면, 보는 사람도 직관적인 데이터 파악이 가능하고, 깔끔해지기 때문에 있어 보이는 자료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 방법을 한 번 알아봅시다. 하강선(세로줄)이란? 차트 데이터로부터 가로축(x축)까지 연결된 선을 지칭합니다. 그렇기에 가로축의 값과 데이터 값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강선(세로줄)을 넣는 방법 파워포인트, 엑셀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면 됩니다. 눈금선을 지우고 하강선을 넣는 것만으로도 보다 깔끔하고 직관적인 차트 구성이 가능합니다.

MS 오피스 2023.03.05

파워포인트로 사진 모자이크, 블러 처리 하는 방법 (사진 흐리게 만들기 방법)

회사에서 자료를 외부에 전송해야 할 때가 있다. 이때 자료 안의 사진을 그대로 전송하면 보안에 위배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하지만 사진을 제거하면 자료가 빈약해 보일 수 있다. 이런 경우엔 사진만 모자이크, 흐리게, 블러 처리를 해보는 것은 어떨까? 보안성과 구색 모두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아래 before / after 사진처럼 말이다. 파워포인트로 사진 블러처리 (흐리게) 하는 방법 ※ 준비물 : 파워포인트, 블러처리할 사진 블러 처리한 사진 흐림 정도 조절 방법 블러 처리한 사진의 흐림 정도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아래의 방법으로 블러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 파워포인트로 사진의 블러 (흐림) 처리 후 블러의 세기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모쪼록 업무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비트코인 해시레이트란? 해시레이트와 부동산 토지 가격과의 연관성

암호화폐 대장 비트코인에 투자하는 사람들은 '비트코인 해시레이트'를 들어봤을 것이다. 비트코인 해시레이트는 비트코인 가격에 영향을 주는 강력한 지표 중 하나인데, 이 지표의 정의와 확인 방법, 그리고 부동산 토지와의 평행 이론에 대해 알아보자. 비트코인 해시레이트란?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모든 채굴자의 연산능력의 합이다. 말은 어렵지만 단순히 말하자면 비트코인을 얻기 위해 투입된 컴퓨팅 파워(노동자들)라고 할 수 있다. 비트코인을 보상으로 얻기 위해서는 채굴자가 막대한 에너지와 하드웨어를 투입해 해시 문제를 풀게 된다. 이때 해쉬 문제를 풀기 위해 투입된 연산량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특이한 점은 더 많은 연산능력이 들어갈수록 연산의 난이도는 더 올라가 보상이 적어진다. 보상이 적어진다는 것은 희소성이 올..

비트코인 2023.02.02

아파트 대지지분이란? 아파트 평수별 대지지분을 확인하는 방법

서울 역세권 인근의 주공을 보면서 대지지분을 확인하며 공부하고 있다. 그 내용을 작성하며 기록 및 복기해보려 한다. 부동산에 관심을 가진 지 얼마 되지 않아 아주 기초적인 내용을 공부 중이지만, 누군가에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아파트 그 자체에 대해 알 수 있는 지표는 여러 가지가 있다. 전월세 가격, 면적, 대지지분, 층수, 건축 연도, 위치, 입지, 용적률 등이 있다. 이 중에서 대지지분에 대해 알아보자. 대지지분의 뜻과 개념 대지지분이란 말 그대로 대지(땅)에 대한 지분을 얼마나 가지고 있느냐를 표현한 것이다. 아파트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사는 공동주택이며 한정된 토지에 위로 높게 쌓아 올렸다.때문에 그 한정된 토지를 세대별로 얼마나 분배되고 소유하고 있느냐에 대한 값이 필요한데 그 값이 '대지..

부동산 2023.01.31